무형문화재 사진공모전 입상작품 지상전 무형문화재 사진공모전 입상작품 * 금상에는 전북 무형문화재 제10호 선자장 기능 보유자 조충익 선생의 부채 제작 장면을 촬영한 성하덕씨의 작품으로 선정되었으며, 은상은 이영숙(시흥-상구보리하화중생), 박민철(과천-궁중제례), 동상은 정을식(대구-사물놀이),김택수(울산-장구춤) 등이 각각 차지.. 감상할 만한 사진들 2010.10.17
사라지는 경춘선 간이역에서 연민과 아쉬움이 (강원일보 오솔길 원고 3) * 이제 지금의 경춘선 철도를 타는 것도 영원한 추억이 되는 시점이다. 2010년 년말이면 사라질 간이역의 모습이 불쑥 떠올라 무작정 기차에 올랐다. 기점인 남춘천역에서 출발한 기차는 예전의 신남역인 김유정역을 지나고 흔적도 없이 사라진 의암역을 스치듯 지나치며 북한강과 어깨를 나란히하고 .. 심창섭의 글 2010.10.17
춘천의 답사 일번지를 소개합니다(강원일보 오솔길 게재 2) * 늘- 춘천의 대표적 상징물은 무엇일까 생각했던 시간이 있었습니다. 도심 한 가운데 꽃봉우리 마냥 우뚝 서있는 봉의산. 도시를 감싸안고 도는 북한강과 소양강 아니면 도시를 포근하게 감싸않는 안개 소양댐, 의암호, 공지천, 경춘도로, 남이섬, 소양호, 청평사............. 반듯하게 한 가지로 정의하.. 심창섭의 글 2010.10.13
강원도 사투리 유감(강원일보 게재 오솔길 원고 1) * 강원일보 문화부에서 전화가 왔다. 매주 월요일에 게재되는 오솔길 집필진으로 선정되었으니 원고를 내란다. 주제도 자유이며, 내용도 마음대로 써보란다. ok싸인을 하고 원고지를 펼친다. 막상 원고지를 펼치고 보니 정말이지 머리가 하애지는것 같다. 쓴 소주잔을 부대며 사회를 향해 던지고 싶었.. 심창섭의 글 2010.10.12
이름모를 나무꽃(2종류) 이름을 알려주실분 계시나요 * 본 사진은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로상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처음보는 나무와 꽃으로 궁금증을 해소하고 싶어 이런분야에 학식이 높으신 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혹시 이름을 아신다면 일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번사진은 처음 멀리서 볼때는 오동나무 꽃인줄 알았습니다만 가까이서 입을.. 꽃,열매,식물류 2010.09.20
춘천의 전설- 신북읍 아침못 춘천의 전설 1) 신북읍 유포리 아침못(朝淵) 옛날 아주옛날 지금의 춘천시 신북읍 유포리에 정씨 성을 가진 부자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마을에서 아주 소문난 구두쇠로 이웃이 흉년이 들어 굶어 죽어도 거들떠 보지도 않았으며, 거지나 중이 와서 동냥을 달라고 해도 절대 주지 않아 주변의 원성이 .. 춘천의 문화유산 2010.09.15
[스크랩] 온수지가 뭐지? 춘천시내에서 소양2교를 건너 소양땜쪽으로 가다보면 우두산 앞에 넓은 연못처럼 생긴 곳에 "한국농어촌공사 우두 온수지"라는 팻말을 볼 수 있다. 온수지(溫水池)는 햇볕을 받아 관개용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저수지를 말한다. 예로부터 우두벌판의 관개용수는 양구, 인제쪽에서 내려.. 춘천의 문화유산 2010.09.12
[스크랩]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2. 얼음장 밑으로 물 흐르는 소리 3. 동굴 낙수 소리 4. 여름 폭포 소리 5. 몽돌 파도에 휩쓸리는 소리 6. 대나무 부딪히는 소리 7. 천둥 소리 8. 장마 비바람 소리 9. 우박 떨어지는 소리 10. 가시연꽃밭의 폭우 소리 11. 불어난 계곡물 쏟아져내리는 소리 12. 벼이삭 부딪히는 소.. 카테고리 없음 2010.08.24
[스크랩] 장사익 노래모음 참소리꾼 장사익 노래모음(특집) 참소리꾼 장사익 노래모음(특집) 01. 허허바다 02. 사랑굿 03. 파도 04. 낙화 05. 귀가 06. 황혼길 07. 무덤 08. 나그네 09. 민들레 10. 회포 11. 여행 12. 꿈속 13. 아리랑 14. 아버지 15. 희망가 16. 시골장 카테고리 없음 2010.08.10
기념물 - 강원대학교 초대학장 함인섭 박사 동상 강원대학교 초대학장 함인섭 박사 동상제막 함인섭 박사(1907. 5. 3 ~ 1986. 9. 13)는 강원대학교의 전신인 춘천농과대학을 설립, 초대와 2대, 4대, 5대, 6대 학장을 역임하고 우리나라 최대의 학술림을 조성하는 등 학교발전의 기초를 닦는 등 일생을 강원대학에 바친 교육자이다. 2010. 6. 12 개교 .. 춘천의 조형물 20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