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창섭 사진전 "부유의 풍경'(작가노트, 초청장, 신문기사) 시작노트 <개인전 " 부유의 풍경"> 寫眞으로 春川의 詩를 쓰다. - 전혀 낯설지 않은 안개가 수시로 도시를 품는다. 바람이 일때마다 안개덩이가 또 다른 안개 속으로 빠져든다. 오늘도 물기 먹은 도시는 파스텔조의 풍경만을 고집하고 안개 속에서는 형상들이 술래잡기를 반복하고 있.. 심창섭의 작품사진 2010.12.27
사라지는 경춘선 간이역에서 연민과 아쉬움이 (강원일보 오솔길 원고 3) * 이제 지금의 경춘선 철도를 타는 것도 영원한 추억이 되는 시점이다. 2010년 년말이면 사라질 간이역의 모습이 불쑥 떠올라 무작정 기차에 올랐다. 기점인 남춘천역에서 출발한 기차는 예전의 신남역인 김유정역을 지나고 흔적도 없이 사라진 의암역을 스치듯 지나치며 북한강과 어깨를 나란히하고 .. 심창섭의 글 2010.10.17
춘천의 답사 일번지를 소개합니다(강원일보 오솔길 게재 2) * 늘- 춘천의 대표적 상징물은 무엇일까 생각했던 시간이 있었습니다. 도심 한 가운데 꽃봉우리 마냥 우뚝 서있는 봉의산. 도시를 감싸안고 도는 북한강과 소양강 아니면 도시를 포근하게 감싸않는 안개 소양댐, 의암호, 공지천, 경춘도로, 남이섬, 소양호, 청평사............. 반듯하게 한 가지로 정의하.. 심창섭의 글 2010.10.13
풍은부원군 조만영 신도비 및 묘역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묘역 및·신도비 (조선 제23대 임금 순조의 아들로 문조(文祖) 또는 익종(翼宗) 장인) * 소재지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지내리 산51-7 조만영[趙萬永, 영조 52년(1776)∼헌종 12년(1846)] 자는 윤경(胤卿) 호는 석애(石厓), 시호 충경(忠敬), 본관은 풍양이다. 증조는 이조.. 춘천의 금석문 2010.08.02
금석문 개요 금석문(金石文)이란? 금석문은 말 그대로 철이나 청동 같은 금속성재료에 기록한 금문(金文)이나 비석같은 석재(石材)에 기록한 석문(石文)을 일컫는 말이다. - 백제시대에 일본에 보낸 칠지도(七支刀)는 철로 만든 칼이지만 그 몸체의 양면에 칼을 보낸 사연을 기록한 것과 고구려시대에 광개토왕의 .. 춘천의 금석문 2010.08.01
춘천의 기념물 진병산 전적비 더보기 * 김유정역을 지나고 신동면 사무소, 금병초교를 차례로 지나면 금병산의 작은 산기슭이 이곳까지 뿌리를 내려 어쩔수 없이 도로는 크게 굽어지며 산기슭을 돌아가게 된다. 이 삼거리에서 우측도로는 팔미리 방향이고 좌측은 삼포, 광판리로 가는 길이다. 이 산이 발걸음을 멈추는 작은 능선위.. 춘천의 조형물 2010.08.01
기념물(6) 맥국 터 비 맥국터 비(조형물) <전면비문> 삼국시대 이전에 이 곳 춘천에 맥국)맥국)이 있었다는 기록이 여러 분헌에 나타나고 이것을 검증할만한 유물이 춘천근교에는 산재하여 있다. 문헌에는 “맥국의 서울이 지금의 춘천시가지 북쪽 13리 소양강 북쪽에 있었다” 는 기록이 있다. 강원도 각 고을의 삼국이.. 춘천의 조형물 2010.07.21
기념물(18) - 춘천시민 헌장비 춘천시민 헌장비 공지천 시민공원에서 강변길을 따라 춘천문화방송국이 있는 언덕에 올라서면 제일먼저 만날 수 있는 조형물이다. 기단부는 많이 훼손되어 화강석으로 붙여놓은 석재가 떨어져 나가 흉물스럽게 서있으나 방치되면서 시민의 관심 밖에 있는 기념물이다. 이름은 거창하게 춘천시민 헌.. 춘천의 조형물 2010.07.08
7월의 공주를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자귀나무 꽃 자귀나무(꽃) 콩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키는 3~5m 정도 자란다. 가지는 드문드문 옆으로 길게 퍼진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고 꽃은 7월에 새 가지 끝에서 길이가 5㎝ 정도의 꽃대가 나와 피는데, 15~20개의 연분홍색 꽃들이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길이.. 꽃,열매,식물류 201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