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옛 사진들 60년대의 부산 자갈치시장. 60년대 자갈치 아지매들의 화사한 모습. 2.28당시 경북고생들과 대구고생들이 경찰에 검거되어 끌려가고 있는 모습 1960. 3. 15 마산여고생 시위대에 소방차가 물을 쏘고 있다 2·28직후 여학생들이 시위하고 있는 모습 4·19당시 대구지역 교수단의 이대통령 하야.. 타지역 옛사진 2014.07.04
아들에게 보낸 편지 - 이 편지는 2012. 12. 06 화천지역에서 군생활을 하고 있던 아들에게 보낸편지(카페)였습니다. 이미 전역을 한 뒤라 이 편지에 대해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누군가 제게 전화를 해 인터넷에서 이 편지를 보았다고 하며 자네만 아들있는줄 아냐고 놀렸습니다. 아들에게 보낸편지가 남아있었다.. 심창섭의 글 2014.04.25
포토에세이 " 박영택씨는 강원일보 사진부장을 역임할 당시부터의 인연을 가진분이다. 누구보다도 사진을 사랑했고 그의 큰 키만큼이나 강직한 성격으로, 처음에는 나 역시 까칠한 분이라고만 생각했다. 그 고지식함과 고집스런 성격은 만남을 지속할 때마다 조금씩 봄눈 녹듯 녹아가면서 또 다른 .. 기타 2014.03.12
정월대보름이란 "민속소개" 정월대보름이란 무엇인가. 정월 대보름은 한국 세시풍속에서 비중이 크고 뜻이 깊은 날이기 때문에 ‘대보름’이라고 특별히 일컫는다. 매우 드물지만 정월 14일을 작은보름, 15일을 큰보름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이날을 상원(上元)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중원(中元, 7월 15.. 문화관련 2014.02.09
석파령 석파령席破嶺 옛 고갯길에 오롯히 묻혀있는 추억을 따라 심 창 섭 * 첩첩산중의 높은 낮은 산줄기와 골짜기가 무수히 이어지고 그 가장 낮은 골로 물길이 산기슭을 따라 구불구불 핏줄처럼 흐르는 강원도 땅. 그 많은 산줄기에 막힌 답답함에 이웃과 좀 더 너른 세상을 향한 그리움과 진.. 심창섭의 글 2014.01.02
춘천이야기- 삼악산 登仙溪谷의 6瀑 1潭 다시 보고, 새삼 느껴 본 登仙溪谷의 6瀑 1潭 심 창 섭 등선폭포는 춘천의 대표적 명소임에도 불구하고 전해지는 기록은 아주 미비하다. 이름조차 경천폭境川瀑, 삼학폭三鶴瀑, 삼악폭三岳瀑, 등선폭登仙瀑으로 불리나 이름이 지어진 시기나 작명 자가 누구인지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 심창섭의 글 2013.12.31
손주일 강원대교수님의 글("때론, 그리움이 그립다" 를 읽고) 손 교수님과는 2013년 11. 22 강원도내에서 기몰된 맥,예,실직,태봉국과 춘천이궁관련 학술대회에서 업무 실무자와 주제발표자라는 인연으로 첫 만남을 가졌던 분이다. 이미 학교에서 퇴직하셨음에도 童顔의 다감한 모습으로 첫 인상이 참으로 부드러우신 분이었다. 학술대회가 끝나고 며.. 심창섭의 포토에세이 2013.12.12
김풍기 교수의 photo essay 내면 풍경과 세계의 풍경 사이에서 떠돌기 - 심창섭 작가의 <때론, 그리움이 그립다.>에 부치는 글 - 표현을 뜻하는 ‘express’는 라틴어의 동사 ‘exprimo’에서 온 것으로, ‘밖으로 내밀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라고 한다. 그것의 번역어로서의 ‘표현(表現)’ 역시 ‘밖으로 드러낸다.. 심창섭의 포토에세이 2013.12.09